본문 바로가기

연예

조빈 사과,노라조 카레 노래 인도 종교 인종차별 의도NO 해명 뮤직비디오 영상

그룹 노라조 조빈이 '카레'의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혔다.

조빈 인스타 해명 사과 전문

조빈은 지난 15일 자신의 SNS에 "노라조는 인종차별이나 종교모독의 생각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는 글을 게재했다.조빈은 “인도분들에게 커리라는 음식은 인도 음식에 없다는 말을 들었고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채 곡 작업을 하게 된 이유는 한국에 살면서 커리의 역사에 대한 변형된 잘못된 정보를 듣고 살아오다보니 ‘카레는 원래 인도음식이구나’라고 교육이 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도 본고장 느낌을 내기 위해 사용한 몇 가지의 단어가 그 말을 사용하시는 그 나라 분들에게 어떤 의미로 쓰이고 또 얼마나 신성한 말인지 제대로 된 뜻 파악이 되지 못했다. 분명한 저희의 실수”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조빈은 “단지 카레는 누가 먹어도 어떻게 먹어도 맛있는 음식이란 걸 노라조 스타일로 즐겁게 알리고 싶었다”며 “진정코 누군가를 비하하거나 소중한 한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깎아내리려는 마음으로 만든 노래가 아님을 말씀 드린다”고 했다.

또 “앞으로 올바른 정보를 가지고 노래를 만들고 부르는 가수가 되겠다. 마음 상하셨을 남아시아와 인도에 계시는 분들에게 사과를 전한다”면서 “후배 아이돌 가수도 이 노래가 많은 분들께 그런 의미로 인식되는지 모르고 있었다. 다른 나라전통에 대한 무지로 시작된 이 노래가 많은 분들과 월드투어 중인 멋진 후배가수에게 상처가 되지 않길 바란다”고 거듭 사과했다.

이번 논란이 벌어진 이유는 앞서 지난 13일 ‘고잉 세븐틴’에서 세븐틴 원우와 버논, 도겸이 노라조가 지난 2010년에 발표한 노래 ‘카레’를 부르는 장면이 방송됐다. 이 때 누리꾼들인 “‘카레’가 인종차별적 노래다”, “인도의 문화를 희화화하는 노래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당 논란이 인도 내에서도 불거졌고 결국 인도 누리꾼들인 노라조와 세븐틴에게 사과를 요구하자 조빈이 해명에 나선 것이다.

노라조 카레 뮤직비디오 1분50초부터 보기를 권장 앞 부분은 그냥 별 상관 없는 내용임

필자는 이번 논란을 보고 오랜만에 노라조의 카레 뮤비를 다시 봤다 도데체 이 노래가 어디를 봐서 종교 인종차별적 노래라는 건지 이해가 안된다 인도 네티즌들은 가사는 이해하고 비판을 하는 건지 모르겠다. 가사가 전부 카레 완전 좋아 카레 음식 찬양 일색 노래를 비하 노래라고 하다니 어이가 없다. 이 노래 자체가 카레 홍보송이나 마찬가지다 인도 사람들이 한국어를 잘 모르고 일어난 해프닝 같다

그리고 전세계 사람들한테 물어보면 카레나 커리 하면 다 인도라고 떠올릴 것이다 발음의 차이지 결국은 카레는 인도 음식 커리를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리가 인도 음식이 아니라고 본토 사람들이 부정하는 것을 보고 처음 알게된 사실이다.

한국인의 소울 푸트 카레의 역사[무한리필 샐러드] 20191129

그런데 한국식 카레의 역사를 찾아봤는데 카레의 고향은 인도라고 되어 있다. 인도인의 일상 음식이었던 카레는 아시아에 진출한 동인도 회사 직원 워런 헤이스팅스(Warren Hasting)가 1772년 분말 혼합 향신료와 쌀을 영국으로 가져가면서 대중화됐다. 카레는 1870년 영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전 세계로 보급됐다. '커리의 지구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카레는 1903년 이후 주요 개항지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들여왔다.

우리나라에 카레가 전해진 후 1950년대 말까지는 일본 카레 가루를 그대로 사용했다. 그 이후부터는 우리 입맛에 맞게 한국형 카레를 개발해서 대량 생산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1960년대 이전을 '한국의 카레 도입기'라고 한다면, 1970~80년대는 '대중화'되는 시기이다. 1990년대에는 누구나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과립형 카레가 출시되며 '아빠 요리 시대'를 본격적으로 개막했다고 이렇게 나와있다. 그런식으로 하면 피자 치킨은 어느 나라 음식인가

원곡자인 노라조 조빈이나 후배인 세븐틴도 이 노래가 이런 논란을 불러온 거라고는 상상을 못했을 것이다. 살다보니 10년전 노래가 이제와서 논란이 되서 사과까지 하다니 기막히다.

반응형